블로그에 광고를 게재하면 클릭과 노출에 따른 수익이 발생합니다. 많은 분들이 착각하실만한 부분이 있어 간단하게 글을 써봅니다. 바로 광고 게재수와 광고 클릭률 즉 수익이 정비례 관계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는 큰 착각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도 한번쯤은 경험하셨을 겁니다. 뉴스를 보려고 한 뉴스기사 홈페이지에 접속해보셨나요? 사진을 가져와보았습니다. Y 뉴스 홈페이지입니다. 광고가 지저분하다는 생각 그 이상으로 들게끔 오만천지 덕지덕지 붙어있습니다. 정말 너무도 지저분하군요..아무리 광고수익을 벌고싶다지만 저건 너무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뉴스기사를 읽으러왔지 광고를 보려고 온 건 절대 아니거든요. 두 세개 정도면 모를까 수십개를 달아놓으니 정말이지 마우스가 자동..
무서운 구글입니다. 광고를 게재한 블로거는 자신의 수익을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광고를 클릭할 수 있습니다. 그런 유혹이 들지 않는다면 그건 정말 정직한 사람이거나 굳이 블로그 수익이 아니더라도 잘 먹고사는 사람이겠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구글이 어떻게 무효 클릭을 방지하는지 그 시스템에 대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클릭수 및 노출수 Google의 무효 활동 방지 다음: 유효하지 않은 활동을 차단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Google 전문가는 게시자와 광고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광고에 발생하는 클릭수와 노출수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동화된 시스템과 직접적인 검토를 통해 광고에 발생한 모든 클릭과 노출을 분석하여 광고주의 비용 또는 게시자의 수입을 의도적으로 늘리기 위한 무효 클릭 활동..
구글 애드센스 홈화면에서는 현재 자신의 오늘/어제/최근 한달의 누적 수익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항상 들었었던 의문이 있습니다. 바로 누적 수익금과 지급 수익금의 차이죠. 아래 사진을 보겠습니다. 블로그로 얻는 수익을 공개하고 싶진 않지만 포스팅을 위해 공개합니다. 많진 않은 수익입니다. (당연히 적을 수 밖에 없지...운영을 똑바로 해야 수익이 많지 ) 최근 28일의 US$61.36 과는 달리 '현재 미지급 잔액' 이 US$35.99 입니다.도대체 왜 이런 지급 수익금의 차이가 발생하는 건가 너무 궁금해 http://support.google.com 에 접속해 검색을 해 보았습니다. 아래와 같은 답을 찾았습니다. 지급홈페이지 보고서: 게시자의 수입에 대해 이해하기다음: 지급 기준액애드센스 계정의 보고..
구글 애드센스, 한번쯤은 블로그에 게재해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광고를 한번 게재했다고 해서 그 광고를 수정/변경하지 않으리란 법은 없죠. 본인의 애드센스 화면에서 본인이 직접 생성한 여러가지 광고단위들이 보일 겁니다. (아래 사진) 광고 단위를 생성한 후에는 그 코드를 복사하여 해당하는 위치에 반드시 삽입하여야 합니다. 삽입이 안될 경우 정책 위반이 되는거죠. 광고를 삽입한 후에 크기라던지 위치가 마음에 안들어 광고단위를 삭제하고 싶다면? 아쉽게도, 애드센스에는 광고 단위를 '삭제' 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광고 단위를 수정 또는 페이지에서 삭제하였을 경우, 광고 단위를 '숨기기' 해주셔야 합니다. 오른쪽 사진에 빨간밑줄의 숨기기를 누르시면 광고단위가 숨겨집니다. 애드센스 광고단위 삭제하기 참 쉽습니다...